이래저래 인터넷 하다 보면은 속도나 관련해서 여러 가지 안 나와서 생각해 보게 되는 방법이 있는데 공유기가 오래돼서 메모리가 작다 이런 경우 한 번씩 속도저하가 오기도 하고 HDD가 고장 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들 때도 있죠.
프로그램 사용하는 버전에 따라 저장 방식이 다른 걸로 생각하는데 구버전은 먼저 디스크 공간을 확보해 야 데이터 저장을 시작하고 빈 공간 확보 할 때 속도가 터무니 없이 낮게 나오기도 아주 요즘은 버전은 실시간저장 방식이라 그러는 것 같더라고요. 고급 설정에서 디스크캐쉬도 이리저리 만져보고 하드디스크속도 느리면 단편화 되어 있다고 해서 내려지는데 파일받는 속도가 30메가 정도 줄여 보시길 바래요.

그리고 점점 늘려가는 하면서 테스트 해봐야겠지요. 가능하다면 메인 재미나게 쓰지도 손 안 대고 그러는게 좋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. 프로그램으로 디스크 쓰기 작업을 하는데 쓰기속도가 좌우되는 부분이 있고 설정에 따라 받는 것과 동시에 업로드 할 수 있는데 쓰기와 up 동시에 한다는 거지요. 거기에다가 빠른 속도를 위해 하나의 파이를 여러부분 분할해서 동시에 조각 받는 경우도 있고 하지만 하드디스크 헤더는 하나이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군데를 쓰기가 불가능 할 겁니다.


정리하자면 물리적으로 동시에 여러 곳을 쓰기 읽기 불가능하니 순차적으로 쓰기 있기 때문에 벤치마크 속도가 나오지 않더라구요. 거기다가 읽기 쓰기 힘들게 하니 과부하가 걸려서 nvme SSD 쓴다고 그러면은 고온으로 인한 한 쓰로틀링 때문에 순간적으로 성능이 강제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습니다. 설정에서 디스크캐쉬 좀 크게 잡아주고 동시에 받을 수 있는 걸 줄이고 연결 수도 줄이고 이렇게 설정해 보는 수밖에 없지요.

그나마 좋은 방법은 램디스크를 만들어 임시저장소 위치를 지정하는게 괜찮기도 할 겁니다. 하드디스크나 SSD 과부하가 걸리면 인터넷 연결이 끊겨버린 기도하는지 궁금한 부분인데 속도가 내려가서 인터넷이 잠시 끊기는게 이상하다고 생각 되지요.
그건 공유기 과부하 증상이라고 볼 수 있는데 프로그램 사용할 때 연결되는게 수가 많으면 공유기가 과부하가 걸려서 먹통이 되고 자동으로 재부팅이 되지요.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는데 그렇다면 인터넷에 동축케이블 사용하는 인터넷명 그럴 수도 있고 동축케이블 마음이 인터넷은 태생적으로 업로드가 취합해서 프로그램 사용할 때 발생하면 인터넷 끊김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다만 이런 경우 인터넷 연결이 아예 끊어지지 않고 being loss가 발병한다는게 다른점입니다.